맨위로가기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1599년 스위스 비소네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건축가로, 석공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밀라노에서 기술을 연마한 후 로마로 이주했다. 그는 카를로 마데르노의 조수가 되었고, 이후 잔 로렌초 베르니니와 협력하며 바르베리니 궁전 공사에 참여했으나, 두 사람의 건축관 차이로 갈등을 겪었다. 보로미니는 독립 후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 산타녜세 인 아고네 성당 등 바로크 양식의 건축물을 설계하며 명성을 얻었다. 그는 곡선과 곡면을 활용하고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강조하는 독창적인 건축 스타일을 구축했으며, 1667년 로마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의 건축은 후대 바로크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위스 프랑 지폐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로크 건축가 - 존 밴브루
    존 밴브루는 휘그당 지지, 극작가 활동, 건축가 전향, 퀸스 극장 설립, 문장관 임명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영국의 인물이다.
  • 바로크 건축가 - 루이 르 보
    루이 르 보는 1612년경 파리에서 태어나, 국왕의 초대 건축가로 임명되어 뱅센 성 재건, 보르비콩트 대저택 건설, 루브르 박물관 재건 등 다양한 왕실 프로젝트를 수행한 프랑스의 건축가이다.
  • 스위스의 건축가 - 마리오 보타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는 르 코르뷔지에 등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적 형태와 자연 소재를 활용, 빛과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연출하는 독특한 건축 철학으로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서울 리움 등 국제적인 건축물을 디자인했다.
  • 스위스의 건축가 - 르 코르뷔지에
    스위스 태생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정식 건축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기능주의 건축을 추구하며 근대 건축의 5대 원칙을 제시하고 도시 계획과 디자인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여 20세기 건축과 도시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정치적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67년 사망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1667년 사망 - 오가사와라 다다자네
    오가사와라 다다자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자이자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오사카 여름 전투 이후 가독을 상속받아 여러 번을 거쳐 고쿠라 번주가 되었으며 시마바라의 난 진압에 참여했고, 다도 장려와 미야모토 무사시 후원으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기본 정보
보로미니 (익명의 젊은 시절 초상화)
보로미니 (익명의 젊은 시절 초상화)
출생명Francesco Castelli 프란체스코 카스텔리
출생일1599년 9월 25일
출생지비쏘네, 12개 주의 공동 통치령 (구 스위스 연방의 이탈리아 영토)
사망일1667년 8월 2일
사망지로마, 교황령
주요 작품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
산탄녜세 인 아고네 성당
산트 이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
필리피노회 기도소

2. 생애 초기와 초기 작품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석공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부터 석공 일을 시작했다. 밀라노에서 석공 기술을 배우고 익힌 후, 1619년 로마로 이주하여 먼 친척인 카를로 마데르노 밑에서 성 베드로 대성전 건축에 참여했다. 1629년 마데르노가 사망하자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지휘 아래 바르베리니궁 건축을 계속했다.

2. 1. 출생과 가계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석공인 조반니 도메니코 카스텔리(Giovanni Domenico Castelli)와 아나스타시아 가로보(Anastasia Garovo) 사이에서 태어났다.[8] 그는 석공의 아들이었고 석공으로서 경력을 시작했다.[9] 그의 아버지는 비스콘티 가문을 위해 일한 건축가였으며, 보로미니는 아버지에게서 초기 교육을 받았다.

9살 무렵, 당시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밀라노로 이주하여 석공으로 일을 배웠다.[9] 20세가 넘어 친척을 따라 로마로 이주하였다. 산 피에트로 대성당 공사 현장에서 석공으로 일하며 실력을 인정받아 공사 책임자인 카를로 마데르노의 조수가 되었다.

그는 그가 태어난 지역의 명칭을 따서 "비소네"(Bissone, 스위스이탈리아어를 사용하는 루가노 인근에 있는 지역)라고도 불렸다.[8] 1619년 로마에서 자신의 이름을 카스텔리에서 보로미니로 바꾸었는데, 이는 어머니의 가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고 아마도 성 카를로 보로메오를 존경하는 의미도 있었을 것이다.[10]

2. 2. 밀라노에서의 수련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석공인 조반니 도메니코 카스텔리와 아나스타시아 가로보 사이에서 태어났다.[8] 그는 석공의 아들이었고 석공으로서 경력을 시작했다.[9] 그는 곧 자신의 기술을 배우고 연마하기 위해 밀라노로 갔다.[9] 9살 무렵, 당시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밀라노로 이주하여 석공으로 일을 배웠다.

2. 3. 로마로의 이주와 카를로 마데르노와의 만남

석공인 조반니 도메니코 카스텔리와 아나스타시아 가로보 사이의 아들인 보로미니는 석공 일을 배우고 실습하기 위하여 밀라노로 갔다.[8][9] 20세가 넘어 친척을 따라 로마로 이주한 후, 산 피에트로 대성당 공사 현장에서 석공으로 일하며 실력을 인정받아 공사 책임자인 카를로 마데르노의 조수가 되었다. 로마에서 그는 자신의 이름을 카스텔리에서 보로미니로 바꾸고,[10] 카를로 마데르노 밑에서 성 베드로 대성전 작업을 하였다. 1629년 마데르노가 사망하자, 잔 로렌초 베르니니 밑에서 마데르노가 작업하던 바르베리니궁의 확장과 건물 정면 작업을 완성했다.

2. 4. 베르니니와의 협업과 경쟁

보로미니는 1629년 카를로 마데르노가 사망하자 잔 로렌초 베르니니 밑에서 바르베리니궁의 확장과 건물 정면 작업을 함께 했다.[29] 성 베드로 대성전의 발다키노(Baldacchino) 완공도 베르니니 밑에서 도왔다.

하지만 두 사람의 사이는 좋지 않았는데, 보로미니는 베르니니의 건축 지식에 의문을 품었고, 베르니니는 보로미니의 건축 방식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29] 1634년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 공사를 맡으면서 보로미니는 독립하였고, 이후 두 사람은 협력하지 않고 라이벌로서 대립하였다.

3. 주요 작품

보로미니는 당대에 교황청과 관련된 건물을 많이 설계한 건축가였으며, 특히 생애 후기에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라이벌이었다.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처럼 곡면을 다용하여 환상적인 효과를 내는 것을 잘했으며, 후대 바로크 건축, 특히 피에몬테 출신의 건축가 구아리노 구아리니와 그의 후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보로미니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그의 다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작품명비고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실내 장식[30]
카펠라 스파다, 산 지롤라모 델라 카르티타보로미니의 작품인지는 확실하지 않음
스파다궁속임수를 쓴 투시도
바르베리니궁위층 창문과 타원형 계단
나폴리 산티 아포스톨리 교회제대
산탄드레아 델레 프라테 성당
인류복음화성[38]
산타 마리아 데이 세테 돌로리 성당
산 조반니 인 올레오 성당복원
주스티니아니궁카를로 폰타나와 함께 작업
팔코니에리궁정면
산타 루치아 인 셀치 성당복원
성 베드로 대성전성체 경당으로 향하는 문, 발다키노의 일부
카르페냐 궁전1층 현관과 현관문, 상층으로 이어지는 나선형 경사로
밀라노 산타 마리아 알라 포르타 교회현관과 첨두부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건축가이지만, 출신지 스위스의 6차 지폐, 7차 지폐 100프랑에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

3. 1.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 (산 카를리노)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은 성 카를로 보로메오에게 봉헌된 성당으로,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처음 독립적으로 맡은 의뢰였다. 1634년에서 1637년까지 성당의 내부 공간과 인접한 건물들을 재건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었고, 정면부는 보로미니가 노년에 완성했다. 이 작은 성당은 로마 바로크의 상징적인 걸작으로 꼽힌다.[31]

보로미니는 선적인 고전주의와 단순한 원 형태를 피해 물결치는 타원 형태를 택했다. 타원형 돔의 아래는 어두운 내부에서 유일하게 빛이 들어오는 정탑 쪽으로 갈수록 사라지는 십자가 형태와 팔각형의 체계를 통해 소란 반자로 장식하였다.[31] 이 작은 성당[32]에서 오목함과 볼록함의 리듬은 네이브의 타원 형태를 분열시킨다.[33][34]

보로미니는 벽들이 안과 밖으로 드나들게 만들어 석재가 아니라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여 운동감을 주었다. 그는 여기에 깊은 엔타블러처와 처마돌림띠, 몰딩과 박공벽 등을 통해 활기찬 공간을 드러내었다.[35]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의 외관.


바로 거리 건너편에 있는 베르니니의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에 비해 기하학적으로는 더욱 복잡하고 조형적 장식은 덜 사용되었다.[36] 베르니니의 것이 건축에 더해진 극적인 조각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면 보로미니의 것에는 이성적이고 기하학적인 효과가 있었다. 구불구불한 처마돌림띠와 조각된 벽감들이 있는 물결치는 건물의 외관(1662-67)은 훌륭한 것이다.[37]

보로미니가 돔을 연장하기 위하여 소란반자의 복잡한 패턴의 비례 조절과 정탑을 통해 사용한 빛을 다루는 기술 또한 두드러진다.

1634년, 보로미니는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산 카를리노로도 알려짐)의 교회, 회랑, 수도원 건물 설계라는 그의 첫 번째 주요 독립적인 의뢰를 받았다. 퀴리날레 언덕에 위치한 이 복합 건물은 종교 단체인 스페인 트리니타리우스회를 위해 설계되었다. 수도원 건물과 회랑이 먼저 완공된 후 1638년부터 1641년까지 교회 건설이 이루어졌고, 1646년 성 카를로 보로메오에게 봉헌되었다. 이 교회는 많은 사람들에게 로마 바로크 건축의 모범적인 걸작으로 여겨진다.

산 카를리노는 바로크 건축에서 중요성을 고려할 때 놀라울 정도로 작다. 전체 건물이 성 베드로 대성당의 돔 기둥 하나 안에 들어갈 수 있다고 언급된 바 있다.[11][12][13]

이 부지는 쉬운 곳이 아니었다. 모퉁이 부지였고 공간이 제한적이었다. 보로미니는 교회를 두 개의 교차하는 도로 모퉁이에 배치했다. 뱀 모양의 정면에 대한 아이디어는 아마도 1630년대 중반에 상당히 초기에 고안되었을 것이지만, 보로미니의 생애 말기에 이르러서야 건설되었고, 상부는 건축가 사후에야 완성되었다.

보로미니는 서로 맞물리는 기하학적 구성으로부터 교회의 복잡한 평면을 고안해냈는데, 이것은 평면을 구성하기 위한 전형적인 보로미니의 방법이었다. 그 결과 내부 하부 벽은 안팎으로 엮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부분적으로는 십자가 형태를, 부분적으로는 육각형 형태를, 부분적으로는 타원형 형태를 암시한다. 이러한 기하학적 도형들은 모두 위의 돔에서 명시적으로 발견된다.[14][15] 펜던티브의 영역은 하부 벽 순서에서 돔의 타원형 개구부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보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창문에 의해 비추어지는 맞물리는 팔각형, 십자가 및 육각형은 돔이 삼위일체의 상징이 있는 랜턴으로 올라가면서 크기가 줄어든다.

같은 바로크 건축이라도 베르니니의 고전주의적이고 단정한 작풍에 비해,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처럼 곡면을 다용하여 환상적인 효과를 내는 것을 잘했으며, 후대 바로크 건축에 준 영향이 크다.

3. 2.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

1640년에서 1650년 사이 보로미니는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인근에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과 그 안마당을 설계했다. 이 건물은 원래 아르키진나시오(Archiginnasio)에 딸린 교회였다. 1632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그를 이 건물의 설계자로 추천했다.[30] 건물이 들어설 부지는 로마의 다른 비좁은 곳들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보는 전망이 중요했다. 자코모 델라 포르타가 설계한 긴 안마당의 끝에 건물이 지어졌다. 건물의 돔과 나선형의 첨탑은 특이한 형태를 가졌는데 여기서 동시대의 다른 건축가들과 구별되는 보로미니 특유의 건축적 모티프가 드러난다. 내부로 들어가면 네이브는 중앙집중형 평면을 가지고 있었는데, 오목면과 볼록면이 교대하는 처마돌림띠가 둘러싸고 돔은 일직선으로 늘어선 별들과 푸티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 구조의 기하학적 형태는 대칭되는 여섯 꼭짓점을 가진 별 모양(다윗의 별)이다. 바닥의 중심에서는 처마 돌림띠는 두개의 정삼각형이 육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보이나, 이 중 세 꼭짓점은 클로버 모양이고 다른 세 꼭짓점은 오목하게 잘라진 모양이다.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기둥들은 원 모양을 이루었다. 급하고 동적인 바로크적 일탈과 이성적인 기하학의 혼합은 교황청의 고등 교육 시설에 있는 이 성당에서 잘 조화되었다.[30]

3. 3. 산타녜세 인 아고네 성당

그는 산타녜세 인 아고네 성당에서 지롤라모 라이날디와 그의 아들 카를로 라이날디의 원래 설계안을 뒤집었다. 원래 설계는 주 출입구를 비아 디 산타마리아 델아니마(Via di Santa Maria dell'Anima)에 면하게 했으나, 보로미니는 이를 나보나 광장으로 옮겼다. 그는 건물의 정면을 팜필리 궁전의 일부와 접하는 곳까지 확장하여 두 종탑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였다. (성 베드로 대성전의 종탑처럼 각각의 종탑은 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하나는 로마 시간을 가리키고 다른 하나는 유럽의 시간을 가리켰다.)[18][19]

보로미니는 1655년 교황 인노첸시오 10세가 사망한 뒤 건물이 완성되기 전에 설계 작업을 그만두어야 했다. 새 교황 알렉산데르 7세와 카밀로 팜필리 공작이 라이날리를 다시 불러 설계를 맡겼으나, 건물의 설계안은 보로미니의 것과 크게 바뀌지 않았으며 이 성당은 보로미니의 설계 개념을 훌륭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1657년 보로미니는 사임했고 카를로 라이날디가 복귀하여 보로미니의 디자인에 여러 가지 중요한 변경을 가했다. 치로 페리가 돔 내부의 프레스코화를 위탁받았는데, 이것은 보로미니가 의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대규모 조각상과 색깔 있는 대리석도 추가되었는데, 이것들 역시 흰색 회반죽 건축 및 상징적 모티프에 중점을 둔 보로미니의 디자인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20]

3. 4. 성 필리포 네리 오라토리오

성 필리포 네리 오라토리오


필리포 네리가 설립한 오라토리오회는 로마에서 가장 잘 장식된 바로크 교회 건물 중 하나로, 음악의 영향을 받아 경건한 분위기가 지배했다. 오라토리오회는 인구가 밀집한 로마 중심에 있는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성당 인근에 주거 지구와 오라토리오(기도실)를 건립할 계획을 세웠다. 보로미니는 파올로 마루셸리 등이 참여한 구조설계 공모에서 당선되었다.[16] 그는 13년 동안 이 건물 설계 작업을 맡았다. 1640년 건물을 개관하였으며 1643년에는 도서관이 완공되었다. 성당 입구 옆에 인접해 있는 건물의 두드러진 외관에는 이면에 있는 구조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오라토리오 내부는 반쪽 기둥들과 벽기둥의 복잡한 리듬을 통해 분절되었다.

산 필립 네리 예배당


16세기 후반, 필리피니 수도회(오라토리안 수도회)는 로마 중심부에 있는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성당(키에사 누오바 - 새 성당)을 재건축했다. 1620년대에 수도회 신부들은 성당 인근 부지에 거주지와 영적 수련을 위한 예배당(이탈리아어로 ''오라토리오'') 건설을 위한 설계를 의뢰했다. 이 수련은 설교와 음악을 결합한 형태로, 큰 인기를 얻었고 음악 오라토리오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파올로 마루스첼리가 부지에 대한 설계도(현존)를 작성했으며, 성구실은 1629년에 착공되어 1635년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1637년 1월 상당한 기부금이 들어온 후, 보로미니가 건축가로 임명되었다.[16] 1640년까지 예배당이 사용되었고, 더 크고 화려한 시계탑이 승인되었으며, 1643년까지 이전된 도서관이 완공되었다. 성당 입구 옆에 있는 눈에 띄는 벽돌 곡선 외관은 특이한 페디먼트를 가지고 있으며, 그 뒤에 있는 예배당 공간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흰색의 예배당 내부는 늑골 볼트와 함께 붙박이 필라스터가 복잡하게 배치된 벽과 1층 발코니를 지탱하는 독립식 기둥을 가지고 있다. 제단 벽은 나중에 상당히 개조되었다.

보로미니와 오라토리안 수도회와의 관계는 종종 험악했다. 설계와 건축 자재 선택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1650년까지 상황이 악화되었고, 1652년에 오라토리안 수도회는 다른 건축가를 임명했다.

그러나 오라토리안 친구이자 주임 사제인 비르질리오 스파다의 도움으로 보로미니는 예배당과 거주지 건설에 대한 자신의 기록을 작성했으며, 삽화가 포함된 이탈리아어판이 1725년에 출판되었다.[17]

3. 5. 기타 작품


  •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 실내 장식[30]
  • 카펠라 스파다, 산 지롤라모 델라 카르티타 (Cappella Spada, San Girolamo della Carità) - 보로미니의 작품인지는 확실하지 않음
  • 스파다궁 - 속임수를 쓴 투시도
  • 바르베리니궁 - 위층 창문과 타원형 계단
  • 나폴리 산티 아포스톨리 교회 - 제대
  • 산탄드레아 델레 프라테 성당
  • 성 필리포 네리 오라토리오
  • 인류복음화성[38]
  • 산타 마리아 데이 세테 돌로리 성당(Santa Maria dei Sette Dolori)
  • 산 조반니 인 올레오 성당(San Giovanni in Oleo) 복원
  • 주스티니아니궁(Palazzo Giustiniani) - 카를로 폰타나와 함께 작업
  • 팔코니에리궁(Palazzo Falconieri) 정면
  • 산타 루치아 인 셀치 성당(Santa Lucia in Selci) 복원
  • 성 베드로 대성전 - 성체 경당으로 향하는 문, 발다키노의 일부
  • 카르페냐 궁전, 로마(1층 현관과 현관문, 상층으로 이어지는 나선형 경사로)
  • 밀라노 산타 마리아 알라 포르타 교회 - 현관과 첨두부
  • 로마 산타 마리아 데이 세테 돌로리 교회

4. 건축적 특징과 영향

보로미니는 바로크 건축에서 베르니니와는 다른 독특한 건축적 특징을 보였다. 베르니니가 고전주의적이고 단정한 양식을 추구한 반면, 보로미니는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에서처럼 곡면을 많이 사용하여 환상적인 효과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그의 건축 기법은 이후 바로크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1]

보로미니는 1634년부터 1637년까지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과 그 주변 건물들을 재건축하는 일을 처음으로 독립적으로 맡았다. 이 성당은 카를로 보로메오에게 봉헌되었으며, 보로미니의 이름도 이 성인에게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 작은 성당은 로마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보로미니는 곧은 선을 사용하는 고전주의와 단순한 원 모양을 벗어나, 물결치는 듯한 타원 형태를 선택했다. 타원형 돔 아래는 어두운데, 유일하게 빛이 들어오는 정탑 쪽으로 갈수록 십자가와 팔각형 모양이 점차 사라지는 소란반자로 장식되어 있다.[31] 벽을 안팎으로 드나들게 만들어 마치 유연한 재료로 만든 것처럼 보이게 하여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주었고, 깊은 엔타블러처, 처마돌림띠, 몰딩, 박공벽 등을 사용하여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었다.[35]

길 건너편에 있는 베르니니의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과 비교하면, 보로미니의 성당은 기하학적으로 더 복잡하고 조형적인 장식은 덜 사용되었다.[36] 베르니니의 작품이 건축에 조각적인 효과를 더했다면, 보로미니는 이성적이고 기하학적인 효과를 추구했다.

보로미니는 이탈리아에서 활동했지만, 그의 출신지인 스위스에서는 6차와 7차 지폐 100프랑에 그의 초상이 실리기도 했다.[1]

4. 1. 곡선과 곡면의 활용

보로미니는 고전 건축의 직선적인 형태와 단순한 원 대신,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에서 볼 수 있듯이 물결치는 타원 형태를 선호했다. 이 작은 성당은 로마 바로크 건축의 상징적인 걸작으로 꼽힌다. 그는 성당 내부를 어둡게 하고, 정탑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십자가와 팔각형 구조의 소란반자를 비추도록 설계했다.[31] 벽면은 오목함과 볼록함의 리듬을 통해 마치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진 듯한 운동감을 주며, 깊은 엔타블러처, 처마돌림띠, 몰딩, 박공벽 등으로 활기찬 공간을 연출했다.[35]

베르니니의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과 비교했을 때, 보로미니의 성당은 기하학적으로 더 복잡하고 조형적 장식은 덜 사용되었다.[36] 베르니니의 작품이 건축에 극적인 조각적 효과를 더했다면, 보로미니는 이성적이고 기하학적인 효과를 추구했다. 1662년부터 1667년까지 건설된 성당 외관은 구불구불한 처마돌림띠와 조각된 벽감으로 장식되어 물결치는 듯한 인상을 준다.[37] 이러한 특징은 특히 나폴리와 시칠리아 바로크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교회에서는 돔과 나선형 첨탑을 통해 독특한 건축 양식을 선보였다. 내부에는 중앙 집중식 평면 구조에 오목함과 볼록함이 번갈아 나타나는 처마돌림띠가 돔으로 이어지며, 돔에는 별과 푸티(벌거벗은 날개 달린 아기 천사)가 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건축물의 기하학적 구조는 대칭적인 육각별 형태를 띠고 있다.

이처럼 보로미니는 곡선과 곡면을 활용하여 환상적인 효과를 창출하는 데 능숙했으며, 이는 후대 바로크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2. 기하학적 구성과 공간의 유기적 연결

보로미니는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독특한 건축 방식을 선보였다.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산 카를리노)에서 그는 복잡한 기하학적 도형을 활용하여 내부 공간을 구성했다. 벽은 안팎으로 엮이는 듯한 느낌을 주며, 아래에서 올려다볼 때 돔의 타원형 개구부로 이어지는 펜던티브 영역은 마치 하나의 조각처럼 느껴진다. 돔 내부는 팔각형, 십자가, 육각형이 서로 맞물려 빛을 받아들이고, 이는 삼위일체를 상징하는 랜턴으로 이어진다.[14][15]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성당에서는 중앙 집중식 평면을 바탕으로 오목면과 볼록면이 교차하는 처마돌림띠(cornice)를 사용하고, 돔에는 별과 푸티(putti, 벌거벗은 날개 달린 아기 천사) 조각상을 배치했다. 건물의 기하학적 형태는 대칭적인 육각별(다윗의 별) 모양이며, 이는 급진적인 바로크 양식과 이성적인 기하학의 조화를 보여준다.[36][37]

산 필립 네리 예배당에서는 흰색의 예배당 내부에 늑골 볼트와 함께 붙박이 필라스터(pilaster)를 복잡하게 배치하고, 독립식 기둥을 통해 1층 발코니를 지탱하도록 설계했다. 이러한 설계는 설교와 음악을 결합한 영적 수련 형태에 적합한 공간을 만들어냈다.[17]

4. 3. 빛과 그림자의 극적인 대비

보로미니는 선적인 고전주의와 단순한 원 형태를 피해 물결치는 타원 형태를 택했다. 타원형 돔 아래는 어두운 내부에서 유일하게 빛이 들어오는 정탑 쪽으로 갈수록 사라지는 십자가 형태와 팔각형의 체계를 통해 소란 반자로 장식하였다.[31] 이 작은 성당[32]에서 오목함과 볼록함의 리듬은 네이브의 타원 형태를 분열시킨다.[33][34] 벽들이 안과 밖으로 드나들게 만들어 석재가 아니라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여 운동감을 주었다. 그는 여기에 깊은 엔타블러처와 처마돌림띠, 몰딩과 박공벽 등을 통해 활기찬 공간을 드러내었다.[35] 보로미니가 돔을 연장하기 위하여 소란반자의 복잡한 패턴의 비례 조절과 정탑을 통해 사용한 빛을 다루는 기술 또한 두드러진다.

4. 4. 후대에 미친 영향

같은 바로크 건축이라도 베르니니의 고전주의적이고 단정한 작품에 비해,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처럼 곡면을 다용하여 환상적인 효과를 내는 것을 잘했으며, 후대 바로크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1]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건축가이지만, 출신지 스위스의 6차 지폐, 7차 지폐 100프랑에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1]

5. 말년과 죽음

보로미니는 신경장애와 우울증으로 시달리다 산 조반니 데이 플로렌티니 성당의 팔코니에리 경당을 완성한 뒤인 1667년 여름, 로마에서 자살하였다.[23] 그는 칼을 빼들어 침대 머리맡에 칼자루를 대고 몸을 던져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관통할 정도의 힘"으로 몸에 칼을 꽂았다. 그는 자신의 유언장에서 율데리코 카르페냐(Ulderico Carpegna) 추기경을 유언집행자로 임명하고, 그에게 상당한 가치를 지닌 돈과 물건을 유증했는데, "그에게 빚진 무한한 은혜" 때문이라고 적었다.[24] 추기경은 보로미니에게 트레비 분수에 있는 그의 궁전의 개조 및 확장 공사라는 중요한 작업을 의뢰했던 과거 후원자였다. 보로미니는 자신의 유언에서 매장 시 이름을 새기지 말고 산 조반니 데이 피오렌티니 교회에 있는 친척인 카를로 마데르노의 묘에 묻히기를 원한다고 적었다.

최근(1955년)에 그의 이름이 마데르노의 묘 아래 대리석 명판에 추가되었고, 스위스 로마 대사관이 의뢰한 기념 명판이 교회 기둥에 부착되었다. 명판의 라틴어 비문은 다음과 같다.[25]

산 조반니 데이 피오렌티니(San Giovanni dei Fiorentini) 성당에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를 기리는 스위스 로마 대사관 의뢰 명판


FRANCISCVS BORROMINI TICINENSIS
EQVES CHRISTI
QVI
IMPERITVRAE MEMORIAE ARCHITECTVS
DIVINAM ARTIS SVAE VIM
AD ROMAM MAGNIFICIS AEDIFICIIS EXORNANDAM VERTIT
IN QVIBUS
ORATORIVM PHILIPPINVM S. IVO S. AGNES IN AGONE
INSTAVRATA LATERANENSIS ARCHIBASILICA
S. ANDREAS DELLE FRATTE NVNCVPATUM
S. CAROLVS IN QVIRINALI
AEDES DE PROPAGANDA FIDE
HOC AVTEM IPSVM TEMPLVM
ARA MAXIMA DECORAVIT
NON LONGE AB HOC LAPIDE
PROPE MORTALES CAROLI MADERNI EXUVVIAS
PROPINQVI MVNICIPIS ET AEMVLI SVI
IN PACE DOMINI QVIESCIT|프란체스쿠스 보로미니 티치넨시스
그리스도의 기사
영원한 기억의 건축가
로마를 웅장한 건물로 장식하는 데
자신의 신성한 예술적 힘을 쏟아부은 자
그 건물들 중에는
필립보 오라토리오, 산 이보, 아고네의 산타녜세
복원된 라테라노 대성당
산탄드레아 델레 프라테
퀴리날레의 산 카를로
신앙 전파성
바로 이 성전
대제단을 장식했네
이 돌에서 멀지 않은 곳
친척이자 경쟁자였던
카를로 마데르노의 유해 근처에서
주님의 평화 안에 잠들다la

명판에 사용된 형용사 "Ticinensis"는 시대착오적인 표현이다. 티치노 강과 관련된 이 이름은 나폴레옹에 의해 현대 티치노주가 만들어진 1803년에야 선택되었기 때문이다.[27]

6. 평가와 유산

보로미니가 등장하는 6번째 시리즈 100 스위스 프랑 지폐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의 평면도 일부와 랜턴 및 돔을 입면도로 보여주는 회전 이미지
로마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종탑이 보이는 단종된 100 스위스 프랑 지폐의 앞면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1976년부터 2000년까지 유통되었던 6번째 시리즈 100 스위스 프랑 지폐 앞면에 등장했다.[26] 이 지폐 뒷면에는 로마 산티보 알라 사피엔차 종탑이 그려져 있었다.

이 결정은 당시 스위스 이탈리아계 미술사학자 피에로 비앙코니에 의해 시작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비앙코니에 따르면, 17세기에 1803년 티치노주가 된 지역은 스위스 여러 주의 이탈리아령(12개 주의 공동 통치 지역)이었기 때문에 보로미니는 티치노 출신이라고도 스위스인이라고도 할 수 없었다.[27][28] 보로미니는 7번째 시리즈에도 등장했는데, 이는 비축 발행이었고 실제로 발행되지는 않았다. 두 시리즈 모두 뒷면에는 그의 주요 작품들의 건축 세부 사항이 나와 있다.

그는 2015년에 개봉된 외젠 그린 감독의 영화 ''라 사피엔차''의 주제이다.

참조

[1] 사전 Borromini, Francesc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Borromini, Francesco http://www.oxford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7-25
[3] 웹사이트 Francesco Borromini http://www.britannic[...] 2010-10-30
[4] 웹사이트 Symposia Melitensia https://www.um.edu.m[...] 2017-09-01
[5] 논문 The rivalry between Bernini and Borromini from a scientometric perspective 2020-05-28
[6] 서적 Borromini Harvard University Press, Belknap 1979
[7] 서적 1979
[8] 문서 Bissone
[9] 웹사이트 Francesco Borromini http://www.treccani.[...] Treccani 2014-05-22
[10] 서적 Borromini Belknap Harvard 1979
[11] 서적 Space, Time and Architecture 1941
[12] 웹사이트 Plan of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ww.usc.edu/s[...] 2006-01-02
[13] 웹사이트 S.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ww2.siba.fi/[...]
[14] 서적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A Study in Multiple Form and Architectural Symbolism New York 1977
[15] 웹사이트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eb.comhem.se[...] 2006-01-02
[16] 서적 Borromini and the Roman Oratory: Style and Society and Averlo format perfettamente: Borromini's first two years at the Roman Oratory New York, London & Cambridge (Massachusetts) and Architectural History 1980 and 2012
[17] 서적 Borromini's Book Oblong Creative 2010
[18] 서적 Borromini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1979
[19] 문서 Each of the constructed bell towers has a clock, one for Roman time, the other for tempo ultramontano or European time
[20] 서적 1979
[21] 서적 Rome in the Age of Bernini
[22] 웹사이트 Collegio di Propaganda Fide http://www.romeartlo[...]
[23] 웹사이트 Borromini's suicide http://web.comhem.se[...]
[24] 서적 Palazzo Carpegna, 1577-1934 Edizioni De Luca, Rome 2000
[25] 문서 Francesco Borromini from the Ticino
[26] 웹사이트 Sixth banknote series, 1984 https://www.snb.ch/e[...]
[27] 논문 Il Boccalino http://www.viverelam[...] 2006-06-01
[28] 논문 Il nome e la lingua - Studi e documenti di storia linguistica svizzero-italiana https://library.oape[...] Narr Francke Attempto Verlag
[29] 서적 미국의 새 가와데 쇼보샤 2009
[30] 서적 NHK 꿈의 미술관 세계의 명건축 100선 신건축사 2008
[31] 문서 전기 조명은 의도된 효과를 흐리게 하고 있다.
[32] 문서 지크프리트 기디온은 《공간 시간 건축》에서 이 건물의 전체 외관이 성 베드로 대성전의 기둥 하나와 들어 맞는다고 지적하였다.
[33] 웹인용 Plan of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ww.usc.edu/s[...] 2009-03-25
[34] 웹사이트 S.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ww2.siba.fi/[...]
[35] 서적 Architecture, from prehistory to post-modernism : the western tradition Abrahms, New York 1986
[36] 문서 보로미니는 스페인의 맨발의 삼위일체회의 빈약한 후원을 통해 작업을 해나갔다. 기디온
[37] 웹인용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http://web.comhem.se[...] 2009-03-25
[38] 웹사이트 Collegio di Propaganda Fide http://www.romeartlo[...]
[3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nb.ch/e/[...] 2009-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